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37)
2022년 4월 테크니컬 라이팅 이런 저런 소식 4월 1일 구글 문서에서 마크다운을 일부 인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고 해당 기능은 3월 29일부터 점차적으로(구글 워크스페이스 사용자 기준이긴 합니다만) 반영된다고 합니다. https://support.google.com/docs/answer/12014036 https://workspaceupdates.googleblog.com/2022/03/compose-with-markdown-in-google-docs-on.html?m=1 이 글을 처음 쓴 4월 1일에는 아직 반영이 되지 않았는데 6일에는 반영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사용자에 따라 다를 수는 있습니다. 메뉴에서 [도구 > 환경설정] 선택하고 옵션에서 "마크다운 자동 감지"를 체크합니다. 그럼 텍스트 입력 시 바로 ..
정말 드라마 파친코에 백인을 쓰려고 했을까 애플 TV에서 드라마 파친코를 론칭하고 작년 1월에 미디어스에서 쓴 기사가 다시 화제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주인공을 백인으로 하겠다고 제안했다고 한다."라는 문구 때문이죠. 한국인 이민세대 이야기를 어떻게 백인으로 구성한다는 거지~라는 근본적인 궁금증에 관련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몇 개의 인터뷰 기사와 영상을 찾아보았는데 저런 멘트는 찾을 수가 없었고 특히 20대라는 애플 TV 담당자 이야기도 뭔가 한국적으로 각색이 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4대에 걸쳐 80년간 일본에서 살아가는 재일교포의 삶에 왜 수많은 이들은 열광하는 것일까? 그리고 왜 그들은 그렇게 이 작품을 영화나 드라마로 만들기 위해 안달이 났던 것일까? 이 작가가 애플TV와 계약을 한 이유를 밝힌 적이 있었다. 이 작품을 영화나 드..
타다 서비스 근거가 되었던 법은? "타다: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초상"을 보면서 왜 처음부터 승합자동차 관련 조항이 들어갔을까 궁금해졌습니다. https://www.indieground.kr/indie/movieLibraryView.do?seq=2215&type=D 일단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을 살펴봅니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34조제2항에 대한 시행령입니다. 해당 시행령은 2015년 11월 30일 일부 개정되면서 아래와 같은 문구가 포함됩니다. 이것만으로는 왜 저 항목이 들어갔는지 알 수 없습니다. 관련 입법 예고는 2015년 8월 7일에 올라왔습니다. http://www.molit.go.kr/USR/law/m_46/dtl.jsp?r_id=4218 아쉽게도 현재는 관련 첨부파일이 삭제되어 있네요. 일부러 삭제한 건 아니고 시스템..
2022년 3월 테크니컬 라이팅 이런 저런 소식 3월 2일 MDN 사이트가 전반적으로 개편됐습니다. 커뮤니티를 강화하고 접근성과 사용성을 강화했다고 합니다. 오랫동안 익숙했던 사이트라 변화가 막 반갑지는 않네요 ^^ 공룡 로고가 사라진 것도 아쉽고~ https://hacks.mozilla.org/2022/03/a-new-year-a-new-mdn/ 참고로 MDN 사이트가 깃헙 기반으로 변경한 것은 2020년 12월입니다. 아마도 그 당시에는 기능은 유지한 채 소스만 이관하고 일부 수정한 듯하고요. 이번에는 전반적인 사용성 개선을 목적으로 개편이 된 것이고요. https://hacks.mozilla.org/2020/12/welcome-yari-mdn-web-docs-has-a-new-platform/ 3월 15일 5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될 WTD..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2,860 원 과금됐습니다 3월 3일 새벽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문자 메시지가 왔습니다. 물론 메시지는 아침에 봤구요. 헉. 이런 일이... 지난주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Associate 과정 온라인 교육을 보면서 "Compute 서비스" 실습을 따라해보았는데 하면서도 뭔가 찜찜하긴 했지만 바로 서비스를 지워서 괜찮은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그건 아니었나 보네요 ㅠㅠ 사용 내역을 보면 한국 리전 서버를 사용한 내역이 보이구요. 기본 설정(실습대로)으로 생성하고 바로 삭제했습니다. 약 8분간 사용했네요. 사용이라기보다는 생성되는 것을 지켜보고 중지하고 삭제한 거죠.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같은 경우에는 결제 수단을 등록하면 일정 금액의 크레딧을 주고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서버를 지원합니다. 아마 온라인 교육에서..
새 흐름 만들기 마이크로소프트 파워 오토메이트 시작 화면 중 일부입니다. "흐름"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Flow"의 번역이겠죠. 뭔가 자꾸 흐름 흐름 하니깐 시냇물도 아니고 영 어색합니다. 뭔가 발 번역 같은 느낌입니다. 하지만 "흐름"이라는 표현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다른 제품에도 적용되는 용어입니다. 언어포털에서 찾아보면 꽤 많은 결과가 나옵니다. 구글이나 AWS에서도 번역 시 "flow"를 "흐름"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AWS 문서는 기계 번역을 사용하지만 아마도 로컬에서 확인한 문서의 경우에는 "기계 번역"이라고 표시하지 않는 듯합니다. 문서 번역뿐 아니라 TTA 용어 사전에서도 "흐름"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발 번역"이라고 무시한 것을 반성해봅니다 ㅠㅠ
갯마을 차차차 감리 할머니 상여는 왜 흰색이었을까? 작가의 대본집에서는 상여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는 없습니다. 상여행렬이 "장엄하고 아름답다" 정도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회에 등장한 상여를 보면 화려한 꽃상여가 아닌 흰색 상여입니다. 임권택 감독의 영화 "화장"에서도 흰색 상여가 등장합니다. 하지만 이건 영화적인 상상이라 검은색과 대비되는 색을 선택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감독의 인터뷰에서도 이런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첫 그림을 인상 깊게 하기 위해서 상여가 가는 곳으로 하얀 모래밭을 골랐다. 그리고 그런 장소를 지나가는 상여꾼이나 죽음을 흰 옷이나 삼베옷이 아닌 검은 옷으로 표현함으로써 죽음을 강력하게 심고자 했다. https://sports.donga.com/ent/article/all/20150317/70173606/2 상여는 여러 의미를..
2022년 2월 테크니컬 라이팅 이런 저런 소식 2월 16일 지난주 카카오 엔터프라이즈 블로그에 "스타일 가이드"에 대한 이야기가 올라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네카라쿠배 정도의 기업에서는 "스타일 가이드"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외부에 공개하고 1인 테크니컬 라이터 또는 문서를 담당하는 개발자를 위해 도움을 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구글 "스타일 가이드"를 참고할 수도 있지만 언어의 차이가 있으니깐요. https://tech.kakaoenterprise.com/133 2월 21일 온라인으로 공개되는 문서는 인쇄물보다는 좀 더 무심할 수 있습니다. 오래된 기술 문서를 찾아보고 그들의 고민과 열정에 귀 기울여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죠. For all the reasons I’ve just stated above, I think that collecti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