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7일
문서 작성의 미래: 한글과컴퓨터의 포용적 혁신을 기대한다
제목처럼 "기대한다"이며 한컴에서 이렇게 하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문서 작성의 미래: 한글과컴퓨터의 포용적 혁신을 기대한다 - 슬로우뉴스.
얼마 전, 한 단체에서 이메일로 한글문서(HWP) 파일을 보내왔다. 휴대폰으로 열어보려 했지만, 별도의 뷰어 앱을 설치하지 않으면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앱을 새로 깔기도 번거로워 결국 PC에
slownews.kr
Write the Docs Newsletter – February 2025
https://www.writethedocs.org/blog/newsletter-february-2025/
AI 관련 주제의 내용은 시간 내서 다시 살펴봐야 겠네요.
https://www.writethedocs.org/topics/#ai-and-llms
그리고 올해는 케냐에서 오프라인 행사가 열린다고 합니다. 사진을 보면 작년에도 행사를 한 것 같은데, WTD 공식 컨퍼런스는 아니고 밋업 정도였던 것 같네요.
https://www.writethedocs.org/conf/kenya/2025/
[2025년 상반기 공개교육]ChatGPT를 활용한 B2B 테크니컬 라이팅
3월 28일 진행되는 유료 교육입니다.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blog.naver.com/ja4308/223747855397
2월 11일
Announcing Portland 2025 conference speakers
5월에 개최 예정인 포틀랜드 행사 스피커가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ChatGPT에게 주제별로 분류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https://www.writethedocs.org/conf/portland/2025/news/announcing-speakers/
https://www.writethedocs.org/conf/portland/2025/speakers/
1. AI와 도구의 진화
- AI 기반 문서 도구: Alex Garnett의 발표 "Docs AI Tooling is Better (and Better for Us) than You Think"은 AI가 문서를 작성하는 대신, 문서를 읽고 분석하여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AI가 테크니컬 라이팅에서 보조적 역할로 자리 잡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도구 체인의 복잡성 관리: Ravind Kumar의 "Embracing the Kraken"에서는 복잡한 도구 체인을 구축하고 활용하는 사례를 공유하며, 도구 통합 및 최적화가 중요한 트렌드임을 시사합니다.
2. 협업과 커뮤니티 중심 접근
- 팀 간 협업: Yanjie Niu의 "The Power of Two"는 테크니컬 라이터와 지원 엔지니어 간 협력을 통해 데이터 기반으로 문서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다룹니다.
- 커뮤니티 참여: Colin Loretz의 "Open Docs, Open Collaboration"은 커뮤니티 기여를 통해 문서 품질을 개선하는 방식을 논의하며, 협업 중심의 문서화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사용자 중심 접근과 피드백 활용
-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Rachel Rigdon의 "Quest for the Holy Grail"은 사용자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통해 문서와 제품을 개선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 경쟁 분석 활용: Leah Catania의 "Using Competitive Analysis to Your Advantage"는 경쟁 분석을 통해 문서 전략을 개발하고 이해 관계자를 설득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4. 특정 산업 및 규제 요구사항에 대한 전문성
- 규제 산업에서의 문서화: Holly Mickelson의 "Regulate This!"는 의료기기 산업과 같은 규제 중심 분야에서 요구되는 전문성을 다루며, 특정 산업에 특화된 기술적 글쓰기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지속 가능한 문서 전략과 품질 관리
- 문서 테스트 전략: Manny Silva의 "Docs as Tests"는 문서를 테스트 가능한 자산으로 취급하여 품질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대규모 콘텐츠 관리: Jodie Landes의 "Unifying Documentation"은 대규모 콘텐츠 통합과 시스템 전환 사례를 다루며,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6. 테크니컬 라이터로서의 성장과 경력 개발
- 다양한 배경의 강점 활용: Heather Zoppetti와 Janine Chan은 각각 "Knitting Together a Technical Writing Career"와 "Seven Habits of Increasingly Technical Technical Writers"를 통해 비전통적인 경력 경로나 기술 습득 과정을 공유하며, 테크니컬 라이터로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태도와 습관을 강조합니다.
7.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
- Elise Davis의 "Scaling a Unicorn"은 급성장하는 기업 환경에서 문서화 팀이 전략을 조정하고 조직 내 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설명하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2월 14일
ChatGPT를 활용한 B2B 테크니컬 라이팅
올해도 TTA에서 1일짜리 교육을 진행합니다.
4월 25일, 6월 17일, 8월 5일 3차례 진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교육 신청은 1개월 전부터 할 수 있으니 일정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