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크니컬 라이팅/이런 저런 소식

2025년 7월 테크니컬 라이팅 이런 저런 소식

7월 7일

Docusaurus를 이용한 API 문서 플랫폼의 진화

https://d2.naver.com/helloworld/6196427

네이버 사내 기술 교류 행사인 NAVER ENGINEERING DAY 2025(5월)에서 발표되었던 세션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문서의 작성보다는 기술적으로 기존 문서화 플랫폼(Redoc)에서 새로운 플랫폼(Docusaurus)으로 전환하는 과정, 검색 기능(typesense)을 추가하는 과정, 버전에 따른 안정적이 배포 방식(Nubes) 등을 설명합니다.

기존에는 Redoc 커뮤니티 버전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버그도 많고 앞으로 추가하려는 기능 제약, 성능 이슈 등의 문제로 좀 더 컨트롤이 가능한 오픈소스 문서화 플랫폼을 찾았고, Docusaurus를 선택했다고 합니다.

 

* 라인에서도 최근 도큐사우르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공개한 적이 있습니다. 

https://techblog.lycorp.co.jp/ko/docusaurus-as-a-technical-document-website

* 현대차 개발자 센터에서도 관련 기술 블로그 글이 올라오긴 했는데, 실제 적용을 했는지는 모르겠네요.

https://developers.hyundaimotorgroup.com/blog/159

 

 

하여간, 관련 세션에서 언급한 사이트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Nubes의 경우에는 네이버 사내에서 사용하는 objectStorage 이름이 아닌가 싶습니다. 2021년 컨퍼런스에서 언급된 적이 있는데 네이버 클라우드 사이트에서는 해당 이름을 찾을 수가 없네요.

 

네이버 커머스 API 센터
https://apicenter.commerce.naver.com/ko/basic/main
https://apicenter.commerce.naver.com/docs/commerce-api/current

Redoc(문서화 플랫폼)
https://redocly.com/redoc
https://github.com/Redocly/redoc
https://redocly.com/pricing

Docusarus(문서화 플랫폼)
https://docusaurus.io/
https://github.com/PaloAltoNetworks/docusaurus-openapi-docs
https://infima.dev/

typesense(검색)
https://typesense.org/
https://www.algolia.com/
https://github.com/algolia/docsearch
https://github.com/typesense/typesense-docsearch.js
https://github.com/typesense/typesense-docsearch-scraper
https://github.com/typesense/docusaurus-theme-search-typesense

Nubes(배포)
https://www.ncloud.com/product/storage/objectStorage
https://nginx.org/
https://airflow.apache.org/

 

7월 10일

LLM 시대의 글쓰기

https://news.hada.io/topic?id=21909

얼마전 구글에서 진행한 행사에 참석했던 누군가가 발표 자료를 보면서 AI가 만든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는 언급을 했었는데, 그런 느낌을 받는 분들이 많은가 봅니다. 저도 가끔 이해가 안되는 내용은 AI의 도움을 받곤 하는데(도움이라고 하지만 복붙에 가까운) 반성하게 되네요.

원문은 https://www.sh-reya.com/blog/ai-writing/ 입니다. 글쓴이는 메타와 구글의 AI 관련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박사과정 5년차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